카테고리 없음

DOM, Serverless

SammyK 2022. 3. 27. 20:56

DOM 은 Document Object Model 의 약자이다.

돔은 XML, HTML 문서들을 객체로 만들어 생성, 변형, 삭제를 할수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 이다.

 

리엑트를 배우면서 Virtual DOM 을 쓰게 되는데, 이것은 가상 돔이랑 칭한다. 아주 편리하다, 왜냐하면

먼저 만들어진 돔을 가상 돔과 비교를하여 새로운것이나, 바뀐 부분만 렌더링을 해주기 때문이다.

그냥 돔이였다면, 바뀌거나 무언가 만들어졋으면 새로 다 만들어야되는.. 그렇다.

 

  • document
    document 인터페이스는브라우저가 불러온 웹 페이지를 나타내며, 페이지 콘텐츠(DOM 트리)의 진입점 역할을 수행합니다.Document는 페이지의 URL 을 얻거나 문서에 새로운 요소를 생성하는 등의 기능을 전역적으로 제공합니다.
  • window
    Window 인터페이스는 DOM 문서를 담은 창을 나타냅니다. document 속성이 창에 불러온 DOM 문서를 가리킵니다. 반대로, 주어진 문서의 창은 document.defaultView를 사용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Window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함수, 이름공간, 객체, 생성자가 머무는 장소입니다. 그 중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창 개념과는 직접 관련되지 않은 것도 존재하며, 대신 전역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하는 항목에 적합합니다.

Serverless 는 언틋 보기만하면 왠지 백엔드가 없는, 서버가 없는 느낌이지만...

그것이 아니라 서버리스는, 미리 지어진 서버 설정을 쓰는 느낌..

잘 만들어진 집을 렌트로 빌려주는 업체를 사용하는 개념이다.

 

두가지 구현이 있다.

  • FaaS(Function as a Service)
    FaaS는 Function, 즉 함수를 서비스로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작성한 코드(백엔드)를 서버리스 제공자의 서버에 업로드하게 되면 해당 서버는 업로드한 코드를 함수 단위로 쪼개어 대기상태로 두게 됩니다. 그러다 요청이 들어오면 서버가 대기상태에 두었던 함수를 실행시켜 처리한 다음 작업이 끝나면 다시 대기상태로 만드는 구조입니다
    AWS 람다 또는 Azure function 등이 대표 서비스입니다.

 

  • BaaS(Backend as a Service)
    BaaS는 백엔드 개발에 필요한 여러 기능을 API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일반적으로 SPA 또는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클라이언트 중심의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클라이언트는 인증,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관리 등과 같은 외부 서비스를 사용하여 대부분의 비즈니스로직을 처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