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JavaScript)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모든 브라우저,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동작한다.
- 자바스크립트는 동적 타입 언어(dynamic type language)이기 때문에 런타임 속도는 빠르지만 타입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타입스크립트는 정적 타입 언어(static type language)이기 때문에 컴파일 시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안정성을 보장한다는 점이 장점이다.
- 타입스크립트는 타입을 선언한다. 이것은 자바스크립트에서 모호하게 사용되던 타입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훨씬 더 간편하게 에러를 잡을 수 있게 한다
타입이란, 한글로 자료형입니다. int형, short형, float형, bool형, 객체 등이 있습니다.
타임스크립트는 ES7이하의 표준을 포함한다. 그렇기에 기존의 ES5 자바스크립트 문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ES6의 새로운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 별도 트랜스파일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ES6의 새로운 기능을 기존의 자바스크립트 엔진에서 사용할 수 있다.
타입스크립트에서는 네임스페이스를 지원하여 클래스가 커지고 개수가 많아지면 유사한 기능의 클래스들을 그룹으로 구분지어야 할 때 라이브러리 단위의 모듈 구성에 유리하다.
브라우저로 사용할시엔 최상위 경로에 tsconfig.json을 만들어준다.
- tsconfig.json은 타입스크립트 프로젝트에서 어떤 파일을 컴파일하고 어떤 자바스크립트 버전으로 빌드하는지 등의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이력서 질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gular vs React (0) | 2022.06.09 |
---|---|
클래스형과 함수형 차이 (0) | 2022.06.09 |
라이프 사이클 메소드 (0) | 2022.06.09 |
데이터 10,000개를 가지고 무한 스크롤 구현시에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점은? (0) | 2022.06.08 |
Async/Await와 Promise의 차이 (0) | 2022.06.08 |